본문 바로가기
음양오행

1.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기초적 이해

by 호두 밖에 gem 2025. 8. 9.

동아시아 전통 사상의 핵심인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다루고 있습니다. 음양오행론을 객관적이고 학술적으로 접근하여, 전통 맹신주의와 과학 맹신주의라는 두 극단적 견해를 지양하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음양오행의 전체적 개관이며 자세한 내용은 차례대로 올릴 예정입니다.

음양오행론에 대한 관점 정립

첫 번째는 전통 맹신주의적 태도로, 음양오행론을 시공을 초월한 절대적 진리로 보는 관점입니다. 이는 주로 한의학이나 사주명리학 분야에서 나타나며, 전통적 지식체계에 대한 무반성적이고 무비판적 수용에서 기인합니다.

두 번째는 과학 맹신주의적 태도로, 음양오행론을 비과학적 이론이나 미신으로 치부하는 관점입니다. 이는 근대 서구과학의 관찰과 실험이라는 방법론을 절대시하여, 과학과 비과학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 기반한 것입니다.

본 강의에서는 이 두 극단적 견해를 모두 지양하고, 음양오행론을 우리 선조들의 전통적 사유방식이자 이론체계로서 인문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입장을 취합니다.

 
구분 특징 주장 내용 문제점
절대적 진리 견해 전통 맹신주의적 태도 시공을 초월한 절대적 진리로 현대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 전통 지식에 대한 무반성적, 무비판적 수용
비과학적 이론 견해 과학 맹신주의적 태도 근대 서구과학 기준에 맞지 않으므로 미신에 불과 과학과 비과학의 이분법적 사고
본 강의의 관점 인문학적 관점 전통적 사유방식이자 문화로서 연구할 가치가 있는 지식체계 객관적이고 균형잡힌 이해 추구

본 강의에서는 인문학적 관점에서 음양오행론을 조명합니다. 음양오행론을 우리 선조들이 인간과 자연을 이해해왔던 전통적 사유방식이자 이론체계로 접근하여, 그 역사적 형성과정과 실제 활용양상을 객관적으로 살펴봅니다.

음양오행론의 역사적 전개과정

음양오행론은 처음부터 완성된 체계로 등장한 것이 아니라, 음양론과 오행론이 각각 독자적으로 발전하다가 점차 결합되어 체계화된 것입니다. 그 발전 과정은 중국 역사를 기준으로 다음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음양오행론의 역사적 발전 과정

 

1단계 :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 (기원전 770-221년)

  • 특징 : 음양론과 오행론의 등장 및 독립적 발전
  • 주요 내용:
    • 음양과 오행의 추상화와 이론화 진행
    • 일반명사에서 추상적 원리 개념으로 발전
    • 기(氣) 관념의 영향으로 이론화 촉진
    • 『주역』의 『역전(易傳)』과 추연(鄒衍)의 오덕종시설(五德終始說)

2단계 : 진·한(秦漢)대 (기원전 221년-220년)

  • 특징: 음양론과 오행론의 결합으로 음양오행론 성립
  • 주요 내용:
    • 시령(時令)·월령(月令) 사상의 영향으로 양자 결합 촉진
    • 천하통일 시대의 통일적 세계관 필요성 대두
    • 회남자(淮南子)』, 『춘추번로(春秋繁露) 음양오행론 발달
    • 황제내경(黃帝內經) 을 통한 의학 분야 적용 시작

3단계: 위·진·수·당(魏晉隋唐) (220-907년)

  • 특징: 간지론(干支論)으로서 완정한 체계 구축
  • 주요 내용:
    • 십간(갑을병정...)과 십이지지(자축인묘...)로 치환 체계화
    • 소길 (蕭吉)오행대의(五行大義) 편찬으로 이론 집대성
    • 현재 술수학의 기본 구성요소들 완성
    • 형충회합론, 억부론 등 세부 이론 체계화

4단계: 송·원·명(宋元明)대 (960-1644년)

  • 특징: 성리학과의 결합으로 철학적 완성
  • 주요 내용:
    • 성리학의 기론과 자연철학의 핵심 사상으로 발전
    • 동아시아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 확산
    • 조선시대 선비들의 세계관 형성에 기여
    • 서구과학 유입 전까지 동아시아인들의 주요 자연인식 체계

5단계: 청(淸)대 (1644-1912년)

  • 특징: 서학의 유입과 음양오행론에 대한 비판 시작
  • 주요 내용:
    • 서양 과학지식(서학)의 본격적 유입
    • 전통 이론체계로서의 지위 위협받기 시작
    • 정약용 등 실학자들의 강한 비판
    • 사원소설(火·氣·水·土)로의 대체 주장 등장

기(氣) 개념의 발생과 발전

기(氣)는 동아시아인들이 우주자연과 인간세계를 이해하는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음양오행론을 이해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현대 물리학의 '원자'와 유사하게 우주만물을 구성하는 질료·원소라는 의미와 생명과 운동의 에너지를 지니는 일종의 유동체로 이해됩니다. 

발전 과정

  1. 원시적 의미: 연기(煙氣), 증기(蒸氣)의 구체적 의미
  2. 자연현상 관련: 구름, 안개, 바람, 날씨 등으로 의미 확장
  3. 생명활동 관련: 숨, 혈기, 식기, 곡기 등 생명현상과 연결
  4. 철학적 개념화: 우주만물의 질료 + 생명 에너지의 이중 의미
  5. 음양오행과 결합: 음기, 양기, 오기 등으로 체계적 발전

기 개념의 두 가지 핵심 의미

  • 우주만물을 구성하는 질료, 원소: 물질적 측면
  • 생명과 운동의 에너지: 동력적 측면

술수(術數)와 술수학

술수의 정의

술수는 단순히 점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數: 자연의 수리적 질서)와 관련된 지식체계 및 구체적 기술을 다루는 학문을 통칭합니다. 고대에는 점술과 과학기술이 엄밀히 구분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서는 술수를 내용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분류 내용 현대 연관 분야
천문(天文) 천문학과 점성술 천문학, 점성학
역보(曆譜) 천문계산학, 산학 수학, 역법학
오행(五行) 오행점 음양오행론 응용
시구(蓍龜) 시초점, 주역점과 거북점 역학, 점복학
잡점(雜占) 꿈해몽 등 잡다한 점술 꿈 해석학, 민속학
형법(形法) 지리학과 관상학 등 풍수지리, 관상학

현대 술수학의 범위

분야 특징
한의학 전통 의학 체계, 기와 음양오행 이론 활용
사주명리학 출생 시간 기반 운명 분석, 간지론 활용
성명학 이름의 음양오행 분석을 통한 길흉 판단
풍수학 지형과 방위의 기 흐름 분석
택일이론 음양오행 이론에 따른 길일 선택

결론

음양오행론은 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발전해온 인간과 자연에 대한 체계적 사유방식입니다. 이를 절대적 진리로 맹신하거나 단순한 미신으로 폄하하는 극단적 태도보다는, 전통문화와 사상사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현대에도 한의학, 사주명리학, 풍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만큼, 그 역사적 형성과정과 이론적 체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우리 전통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음양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오행론의 형성과 전개  (6) 2025.08.19
2. 음양론의 형성과 전개  (8) 2025.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