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양론의 기본 개념
음양론은 우주자연과 인간세계의 모든 구성과 현상, 생성과 변화를 상반되면서 상호의존적인 음(陰)과 양(陽) 두 범주로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 음(陰): 구름이 해를 가린 모양으로, 흐린 날씨, 구름, 비, 음지, 북향, 어둠 등을 의미
- 양(陽): 해에서 햇살이 비치는 모양으로, 맑은 날씨, 햇빛, 양지, 남향, 밝음 등을 의미
2. 중국 고전 문헌에서의 음양 발전 과정
(1) 시경(詩經) 시대 (기원전 11-7세기)
시경에서 음양은 기상현상과 지명을 의미하는 단순한 개념이었습니다
- "음우고지(陰雨膏之)" - 흐린 날 비가 내려 적시다
- "상기음양(相其陰陽)" - 응달과 양달을 살피다
(2) 춘추좌전(春秋左傳) 시대 (기원전 722-481년)
춘춘좌전에서는 음양이 자연현상을 포괄하는 추상적 개념으로 발전했습니다
- "음양지사(陰陽之事)" - 자연현상을 통칭하는 표현
- 사계절의 변화를 음양으로 설명
- 정치와 자연현상의 상관관계 인식
(3) 손자(孫子) 시대 (춘추 말기)
손자에서는 상호대립적 개념으로 발전했습니다
- 허실(虛實), 득실(得失), 동정(動靜), 사생(死生) 등의 대립적 개념
- 병법 운용에서 이원론적 세계관 적용
- 음양론적 세계관의 맹아 형태
(4) 손빈병법(孫臏兵法) 시대 (전국 중기)
우주생성론적 체계로 발전했습니다
- "천지지리(天地之理)" - 우주의 이치로 설명
- 일월-사계절-오행-만물의 생성 질서
- "일음일양(一陰一陽)"의 순환 논리 등장
(5) 전국 후기 문헌 (노자, 순자, 장자)
기(氣) 개념과 결합하여 체계화되었습니다:
- 노자: "만물부음이포양(萬物負陰而抱陽)" - 만물이 음을 등지고 양을 끌어안다
- 순자: "음양지화(陰陽之化)" - 음양의 조화
- 장자: 음양이 기(氣)의 가장 큰 요소
3. 주역(周易)의 음양론

주역의 구성
주역은 경(經)과 전(傳)으로 구성됩니다:
- 경(經): 64괘의 본문 (괘명, 괘사, 효사)
- 전(傳): 십익(十翼) - 공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해설서
주역의 성립 과정
전통적 견해 (삼성설)
- 복희(伏羲): 음효·양효·팔괘·64괘 창조
- 문왕(文王): 괘사와 효사 창작, 괘의 순서 배열
- 공자(孔子): 십익 창작하여 경문 해설
현대적 견해
- 경(經): 전국 중기 이전에 현행본 형태 완성
- 전(傳): 전국 말기부터 전한 무제 시대에 걸쳐 단계적 성립
팔괘 상징 체계
팔괘 | 괘상 | 자연 | 가족 | 신체 | 동물 | 방위 | 속성 |
건(乾) | ☰ | 하늘(天) | 父 | 머리(首) | 말(馬) | 西北 | 굳세다(健) |
진(震) | ☳ | 우레(雷) | 長男 | 발(足) | 용(龍) | 東 | 움직이다(動) |
감(坎) | ☵ | 물(水) | 中男 | 귀(耳) | 돼지(豕) | 北 | 빠지다(陷) |
간(艮) | ☶ | 산(山) | 少男 | 손(手) | 개(狗) | 東北 | 멈추다(止) |
곤(坤) | ☷ | 땅(地) | 母 | 배(腹) | 소(牛) | 西南 | 순하다(順) |
손(巽) | ☴ | 바람(風) | 長女 | 다리(股) | 닭(雞) | 東南 | 들어가다(入) |
리(離) | ☲ | 불(火) | 中女 | 눈(目) | 꿩(雉) | 南 | 붙다(麗) |
태(兌) | ☱ | 연못(澤) | 少女 | 입(口) | 양(羊) | 西 | 기뻐하다(說) |
일음일양(一陰一陽)의 원리
**"일음일양지위도(一陰一陽之謂道)"**는 주역 음양론의 핵심입니다:
- 음양의 대대(對待): 상반된 속성의 음과 양이 존재해야 만물의 존립과 변화 가능
- 음양의 유행(流行): 음양의 소식(消息)이 끊임없이 순환반복하는 변화 원리
4. 한국으로의 전래와 발전
음양오행설은 삼국시대부터 한국에 전래되었습니다:
고구려:
- 고분벽화의 사신도(四神圖) - 현무·주작·청룡·백호
- 오성(五星) 기록, 오부제(五部制)
백제:
- 능산리 고분의 사신벽화
- 오경박사, 역박사 제도
신라:
- 태종무열왕비의 귀부
- 감은사 지석의 태극 도형
- 통일신라 이후 더욱 체계적 수용
조선시대: 성리학과 결합하여 생활 전반에 영향
- 철학 논쟁: 무극태극 논쟁, 사단칠정 논쟁 등
- 도시 설계: 사대문의 명칭과 배치
- 궁궐 건축: 경복궁의 음양오행적 설계
보충 내용
음양오행설의 체계적 통합
**추연(騶衍)**이 전국시대에 음양설과 오행설을 체계적으로 결합했습니다:
- 오덕종시설(五德終始說): 왕조 교체를 오행 상극으로 설명
- 오행상극: 목→토, 금→목, 화→금, 수→화, 토→수
동중서가 한나라 시대에 오행상생설을 도입했습니다:
- 오행상생: 목→화→토→금→수→목의 순환
**주렴계(周濂溪)**의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 우주론적으로 완성되었습니다:
- "태극이 움직여 양을 낳고... 양이 변하고 음이 합치되어 오행을 낳는다"
현대적 의의
음양론은 단순한 고대 철학이 아니라 현대 과학과도 연관됩니다:
- 라이프니츠의 이진법: 주역 팔괘와 음양이론에서 영감
- 컴퓨터 원리: 0과 1의 이진 체계는 음양론과 유사
- 상호보완성: 현대 물리학의 파동-입자 이중성과 유사한 관점
음양오행설은 동아시아 문화의 근간이 되는 사상체계로서, 단순한 미신이 아닌 자연 현상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고대의 과학적 시도였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철학적 통찰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음양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오행론의 형성과 전개 (6) | 2025.08.19 |
---|---|
1.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기초적 이해 (5) | 2025.08.09 |